정보 (조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보는 고려 말 학자 정몽주의 손자이자 조선 초 문신이다. 세종의 총애를 받았으며, 사육신의 단종 복위 운동에 연루되어 유배를 갔다가 죽음을 맞았다. 사후 신원되어 이조참의에 증직되었고, 정조는 그를 '죽지 않은 사육신'으로 평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은자 - 생육신
생육신은 세조의 왕위 찬탈에 반대하며 절개를 지킨 김시습, 성담수, 원호, 이맹전, 조려, 남효온 등 여섯 명의 은둔 신하를 지칭하며, 이들은 단종 복위 운동 실패 후 관직에 나아가지 않거나 은둔하며 저항했고 사림 세력에 의해 충절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 은자 - 피에르 레르미트
피에르 레르미트는 11세기 말 제1차 십자군 당시 빈민 십자군을 이끈 프랑스 은둔자이자 설교가로, 예루살렘으로 향하는 무장 순례를 주도하며 민중을 이끌었으나 군사적 실패 후 제후 십자군에 합류하여 사기를 고무하는 역할을 했으며, 그에 대한 평가는 다양하고 대중문화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 - 조선 단종 - 계유정난
계유정난은 1453년 수양대군이 황보인, 김종서 등의 고명대신을 제거하고 정권을 장악한 사건으로, 수양대군이 권력을 장악하여 왕위에 오르고 훈구파의 권력 독점을 야기하며 조선의 정치 구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조선 단종 - 김종서 (1383년)
김종서는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무신, 학자로, 육진을 개척하고 국경을 확정하는 데 공을 세웠으며, 문신으로서도 활약했으나 계유정난 때 수양대군에게 살해되었다. - 고려의 귀족 - 최응
최응은 고려 초 문신으로, 궁예 휘하에서 문한을 담당하고 고려 건국 후 왕건의 참모로 활동하며 내봉경에 이르렀으나 요절하여 태조의 사당에 배향되었고, 시호는 희개이다. - 고려의 귀족 - 심종
심종은 고려 말, 조선 초의 인물로, 태조 이성계의 사위가 되어 청원군에 봉해지고, 제1차 왕자의 난 때 공신에 책록되었으나, 회안군 이방간과 내통한 죄로 폐서인되어 사망했다.
정보 (조선)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별칭 | 호는 운곡(雲谷), 설곡(雪谷) |
출생지 | 경상도 영일 |
사망지 | 경상도 영일 |
사망 원인 | 암살 |
국적 | 고려 → 조선 |
직업 | 문신, 학자, 사상가, 정치인 |
종교 | 유교(성리학) |
가족 관계 | |
아버지 | 정종성(鄭宗誠) |
자녀 | 딸 연일정씨(이석형의 처), 딸 연일정씨(이계손의 처) |
친척 | 할아버지 정몽주, 누이 오천군부인, 매부 선성군, 사돈 정종, 서누이 정씨, 서매제 한명회 |
학력 | |
수학 | 성리학 |
2. 생애
운곡 정보는 고려 말의 학자이자 충신인 포은 정몽주의 손자이자 이조참의 정종성의 아들로 태어났다. 1392년 할아버지 정몽주는 이방원의 정변에 반대하여 이성계와 조준, 정도전 등의 역성혁명파를 제거하려다가 살해되었다. 그러나 이성계나 이방원은 그에게 연좌제를 적용하지 않았다.[4]
정보는 학문이 뛰어나 세종의 총애를 받았고, 예안 현감과 사헌부 감찰을 역임했다. 성삼문, 박팽년 등과 일찍이 친교를 맺고 학문을 논하기도 하였다. 정몽주의 제자는 길재, 이숭인, 권우 등이었다. 권우는 후에 세종대왕의 스승이 되었고, 길재는 김숙자-김종직으로 이어지는 사림파의 태두를 형성하였다. 조부의 제자인 권우의 제자였던 세종대왕은 그를 각별히 총애하였다.[4]
1456년 6월 단종복위사건이 일어나자, 서매제인 한명회를 찾아가 사육신의 무죄를 주장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천추의 악인이라며 규탄하였다. 정보는 한명회에게 사육신을 죽이지 말 것을 요청했고, 그들을 죽인다면 만고의 죄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한명회는 그의 요청을 거절했고, 그는 천추의 악인이라며 규탄하고 나왔다. 그해 12월 한명회가 그를 난언죄(亂言罪)로 고발하여 죽음을 받게 하였다.[4]
그는 사육신의 단종 복위 운동에는 직접 참여하지는 않았지만, 이들을 의로운 사람들이라고 판단했다. 그는 서매제인 한명회의 고발로 의금부로 압송되었다. 단종 복위를 꾀한 성삼문, 박팽년을 변호하여 세조가 직접 신문할 때에 “일찍이 성삼문, 박팽년 등을 정인군자(正人君子)라고 했기 때문에 실제로 이런 말을 하였다.”라고 하여 환열(轘裂)을 명하였다. 하지만 세조는 그가 고려 충신 정몽주의 손자임을 감안하여 정상을 참작, 죄질을 한 등급 감하여 감형, 연일(延日)에 유배시켰다. 그리고 가산을 적몰하는 것으로 종결하였다. 그 뒤 양사의 진언으로 단성 문태촌으로 이배되었다가, 그곳에서 간사한 무리들의 참소로 누명을 쓰고 단성 배소에서 죽음을 당하였다.[4]
사망 당시 그의 정확한 나이는 알 수 없으나 고령의 나이에 살해된 것으로 추정된다.
2. 1. 출생과 가계
운곡 정보는 고려 말의 학자이자 충신인 포은 정몽주의 손자이자 이조참의 정종성의 아들로 태어났다. 1392년 할아버지 정몽주는 이방원의 정변에 반대하여 이성계와 조준, 정도전 등의 역성혁명파를 제거하려다가 살해되었다. 그러나 이성계나 이방원은 그에게 연좌제를 적용하지 않았다.아버지 정종성은 늙으막에 얻은 첩에게서 서녀(庶女) 한 명을 보았는데, 이 서녀는 후일 한명회의 첩이 되었다.
2. 2. 초기 생애와 학문
정보는 학문이 뛰어나 세종의 총애를 받았고, 한때 예안 현감으로 나갔다가 사헌부 감찰이 되었다. 성삼문, 박팽년 등과 일찍이 친교를 맺고 학문을 논하기도 하였다.[4]정몽주의 제자는 길재, 이숭인, 권우 등이었다. 권우는 후에 세종대왕의 스승이 되었고, 길재는 김숙자-김종직으로 이어지는 사림파의 태두를 형성하였다. 조부의 제자인 권우의 제자였던 세종대왕은 그를 각별히 총애하였다. 이후 관직에 올라 예안 현감을 역임했다.
2. 3. 세조 즉위와 죽음
1456년 6월 단종복위사건이 일어나자, 서매제인 한명회를 찾아가 사육신의 무죄를 주장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천추의 악인이라며 규탄하였다. 정보는 한명회를 찾아가 사육신을 죽이지 말 것을 요청했고, 그들을 죽인다면 만고의 죄인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나 한명회는 그의 요청을 거절했고, 그는 천추의 악인이라며 규탄하고 나왔다. 그해 12월 한명회가 그를 난언죄(亂言罪)로 고발하여 죽음을 받게 하였다.[4]그는 사육신의 단종 복위 운동에는 직접 참여하지는 않았지만, 이들을 의로운 사람들이라고 판단했다. 그는 서매제인 한명회의 고발로 의금부로 압송되었다.
단종 복위를 꾀한 성삼문, 박팽년을 변호하여 세조가 직접 신문할 때에 “일찍이 성삼문, 박팽년 등을 정인군자(正人君子)라고 했기 때문에 실제로 이런 말을 하였다.”라고 하여 환열(轘裂)을 명하였다가, 세조는 그가 고려 충신 정몽주의 손자임을 감안하여 정상을 참작, 죄질을 한 등급 감하여 감형, 연일(延日)에 유배시켰다.[4] 그리고 가산을 적몰하는 것으로 종결하였다. 그 뒤 양사의 진언으로 단성 문태촌으로 이배되었다가, 그곳에서 간사한 무리들의 참소로 누명을 쓰고 단성 배소에서 죽음을 당하였다.
사망 당시 그의 정확한 나이는 알 수 없으나 고령의 나이에 살해된 것으로 추정된다.
3. 사후
숙종 25년(1699년) 지경연사 이유 등의 상소로 신원(伸寃)되었고, 이조참의에 증직되었다. 후일 정조는 그를 '죽지 않은 사육신'으로 평가하였다. 1905년(광무 9년) 자헌대부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4]
경기도 용인 충렬서원에 제향되었으나, 흥선대원군 섭정 때 서원철폐령으로 헐렸다. 1982년 공주 동학사 숙모전에도 배향되었다.
3. 1. 신원과 증직
숙종 25년(1699년) 지경연사(知經筵事) 이유(李濡) 등의 상소로 신원(伸寃)되었고, 이조참의에 증직되었다. 후일 정조는 그를 두고 '죽지 않은 사육신'으로 평가하였다. 1905년(광무 9년) 자헌대부 이조판서에 추증(追贈)되었다.3. 2. 추증과 제향
1699년 당시 지경연사(知經筵事) 이유(李濡) 등의 상소로 신원(伸寃)되었고, 이조참의에 증직되었다. 후일 정조는 그를 두고 '죽지 않은 사육신'으로 평가하였다. 1905년(광무 9년) 자헌대부 이조판서에 추증(追贈)되었다.[4]경기도 용인 충렬서원(忠烈書院)에 제향되었으나, 흥선대원군 섭정 때 서원철폐령으로 헐렸다. 1982년 공주 동학사 숙모전에도 배향되었다.
4. 가계
관계 |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증조부 | 정운관 | |||
할아버지 | 정몽주 | 1337년 | 1392년 음력 4월 4일 | |
숙부 | 정종본 | |||
서숙 | 정종화 | |||
아버지 | 정종성 | 1374년 | 1442년 | |
어머니 | 미상 | |||
서모 | 미상 | |||
부인 | 미상 | |||
부인 | 밀양 박씨 | 박등의 딸 | ||
누이 | 오천군부인 연일 정씨 | 선성군에게 출가 | ||
매부 | 선성군 | 정종의 다섯째 서자, 이방원의 서조카 | ||
서누이동생 | 정경부인 정씨 | 한명회의 첩 | ||
서매제 | 한명회 | 1415년 | 1487년 11월 14일 | |
딸 | 정씨 | 이석형에게 출가 | ||
사위 | 이석형 | 1415년 | 1477년 | 연안 이씨 |
외손자 | 이혼 | 1445년 | ? | |
딸 | 정씨 | 이계손에게 출가 | ||
사위 | 이계손 | 1423년 | 1484년 | 여주 이씨 |
딸 | 정씨 | 이지에게 출가 | ||
사위 | 이지 | 1420년 | ? | 고성 이씨 |
외손자 | 이륙 | 1438년 | 1498년 | |
외손자 | 이맥 | 1455년 | 1528년 | |
아들 | 정윤화 | 1453년 | ? | 다른 이름은 원화 |
참조
[1]
문서
서매가 그의 첩이었다.
[2]
서적
선비
바움
2004
[3]
서적
야사로 보는 조선의 역사
가람기획
2003
[4]
웹사이트
정보(鄭保)
http://www.sugmo-je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